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5)
[CS BASIC] 백업(Backup)과 데이터 복구 시스템(DRS, Disaster Recovery System) 오늘은 백업(Backup)과 데이터 복구 시스템(DRS, Disaster Recovery Syste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현대사회를 살아 가는 사람들에게 ‘백업(Backup)’이라는 개념은 생소한 개념이 아닐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한국만 보더라도 거의 모든 국민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스마트폰의 수명이 다 되어 교체할 주기가 되면 그동안 스마트폰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복원할텐데요. 이외에도 사용하던 컴퓨터의 부품이 수명을 다해 컴퓨터를 교체해야 한다면, 컴퓨터의 부품을 새로 고치더라도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데이터의 사본을 보관해두는 것처럼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방법으로 소중한 개인 정보를 ‘백업’하고 있습니다. 백업(Backup)이란? - 임시 보관..
[CS BASIC]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과 데브옵스(Devops) 오늘은 프로그래머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과 데브옵스(Devops)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Computer)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먼저 컴퓨터(Computer)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날 가정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즉 PC의 보급이 굉장히 대중화되었는데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지 않은 사람이라도 누구나 한 번쯤은 컴퓨터를 다루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특히 오늘날 컴퓨터는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회사에서도 필수적인 작업 환경으로서 그 중요성은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데요. 오늘날 사용하는 컴퓨터는 사람으로 비유하면 두뇌에 해당하는 CPU와, 사람의 ..
[CS BASIC] 빅데이터와 데이터 분석기술 개요 오늘은 빅데이터(Big Data)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다양한 분석 기법들 그리고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빅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빅데이터(Big Data)란? 지난 포스팅에서 데이터(data)란 무엇인지, 그리고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다양한 객체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와 데이터 객체에 대해 더 살펴보고 싶다면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https://1-hee.tistory.com/95 [CS BASIC] 데이터와 다양한 데이터 객체들(DAO, DTO, VO) 개요 데이터의 중요성 오늘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객체들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정보’를 다루는 ..
[CS BASIC] 데이터와 다양한 데이터 객체들(DAO, DTO, VO) 개요 데이터의 중요성 오늘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객체들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정보’를 다루는 방법은 정말 다양한데요. 단순히 편지의 역할처럼 데이터를 담아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역할을 수행시킬수도 있고, 은행 ATM기처럼 데이터가 필요할 때마다 꺼내쓰거나 넣을 수 있도록 특화된 객체도 있습니다. 때로는, 공공 기관에서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읽기 전용으로 제한된 pdf 파일과 같은 객체도 존재합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객체들 DAO(Data Access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 VO(Value Objec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객체들에..
[CS BASIC] 프로그램과 프로그래밍 그리고 프로그램 패러다임 오늘은 프로그램과 프로그래밍, 그리고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즈음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프로그래밍을 접할 수 있고 그래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배운 ‘프로그래밍’이란 기술은 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 특히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는데요. 오늘날에 프로그래밍이 전공을 불문하고 주목 받는 이유는 아무래도 프로그램이 인류에 가져다주는 높은 생산성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도대체 프로그램은 무엇이고 프로그래밍은 또 무엇인지? 혹시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조금 더 많이 배우신 분이라면 객체지향,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이 있다는데, 그 둘의 차이는 무엇인지 오늘의 포스팅을 ..
[CS BASIC] 기업 응용 프로그램 통합(EAI, Enterprise Architecture Integration) EAI(Enterprise Architecture Integration) - 기업 응용 프로그램 통합 또는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은 기업용 응용 프로그램의 구조적 통합 방안을 가리킨다. - 전사적 응용 프로그램 통합이라고도 한다. - 국내에서는 Enterprise Architecture와 더불어 EAI로 구축하도록 되어있는 법이 존재 - ex) 전사적자원관리(ERP), 고객 관계관리(CRM), 공급망계획(SCP) 시스템, 인트라넷 등… 구축 유형 설명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가장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방법으로 1:1 단순 통합방법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 단일한 접점 허브 시스템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 허브 장애 시 전재 장애 발생 메시지 버스..
[Android] 데이터 바인딩과 뷰모델(DataBinding & ViewModel) 데이터 바인딩을 하는 이유 지난 포스트에서는 데이터 바인딩(DataBinding)의 가장 간단한 형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https://1-hee.tistory.com/87 [Android] 데이터 바인딩(DataBinding) 데이터 바인딩(DataBinding)이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개발자 사이트에서 정의한 표현을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매틱 방식이 아니라 선언적 형식으로 레이아웃의 UI 1-hee.tistory.com 데이터 바인딩은 더 이상 개발자가 xml로 설계한 화면에 대하여 일일히 findViewById() 메소드를 통해서 뷰 바인딩을 해주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가집니다. 처음 안드로이드 개발을 배우는 상황에서는 명시적으로 뷰를 Id를 통해 찾아내고 뷰..
[Androi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원격으로 디버깅 하기 with ADB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에서는 원격 접속을 통해 디바이스에 앱을 설치하거나 디버깅을 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앱의 시스템 설정에서 빌드 번호를 찾아 열심히 터치하면 개발자 모드를 켤 수 있는데, 보통 한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갤럭시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하면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에서 빌드 번호를 찾을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빌드번호를 찾아 열심히 연타하면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고, 원격이 아니더라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스마트폰 등을 사용해서 개발하거나 테스트할 때는 개발자 모드가 필요하니 알아두면 좋다. 위와 같이 설정에서 빌드번호를 연타했다면, 휴대폰 내에서 개발자 모드가 켜지는데, 개발자 모드가 켜져있을 경우 외부로부터 파일을 주고 받거나 앱을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