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4)
chapter 4. 배열(Array)과 컬렉션(Collection) 4.1. 배열이란 ? 오늘은 배열(Array)와 컬렉션(Collect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배열부터 알아보도록 할 건데요. 우리가 마트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바구니나 카트가 없다면 한번에 많은 물건을 담을 수 없겠죠? 아마도 구매한 모든 물품을 집으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몇번이고 마트를 재방문 하는 수고로움을 동반할 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이렇게 된다면 아무도 마트에 가고 싶어하지 않겠죠?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자바에서도 0개 이상의 변수들을 한번에 관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Data structure)를 제공해주는데요 이것이 바로 배열입니다. 물건을 여러개 담기 위해 바구니가 발명되었듯이 변수를 여러 개를 한번에 담기 위하여 배열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똑같은..
Chapter 3. 제어문 3.1. 제어문이란? 자바의 변수와 연산자를 공부했겠다. 이제는 조금 더 고급(?) 기술을 배워보도록 하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우리가 작성한 모든 코드(명령어)들은 기본적으로 작성한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컴퓨터가 읽어들이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코드(명령어)의 흐름이 이동하는 것을 순차적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개발자가 때로는 프로그램 코드(명령어)들의 흐름을 바꿔야할 때가 있을 수도 있겠죠. 길을 지나다가 갈림길을 만나면 우리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가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것처럼 컴퓨터에게도 이 경우에는 A라는 작업을 해주고 저 경우에는 B라는 작업을 해줘 라는 명령을 하려면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형적인 흐름을 조금 바꾸어야 할 때가 많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chapter 2. 연산자(Operator) 친구들과 놀러가기 위해 멋진 여행 계획을 세우고, 그 다음으로 키게 되는 것! 바로 여행 비용은 얼마나 될까 계산기를 두들겨보게 되죠. 학창시절 학교에서 졸린 눈 비비며 배웠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수학 선생님이 내주신 숙제 한 번 하려고 한다면 문구점에서 구매한 공책을 펴고 예쁘게 깎은 연필로 수학식을 써가며 어렵사리 계산해 갑니다. 아, 이거 누가 대신 안해주나 귀찮은 마음이 들기도 했었는데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우리의 든든한 친구 컴퓨터는 우리가 힘들게 수식을 작성하며 계산할 일을 1초에 1억번을 할 수 있는 아주 멋진 성능을 갖추었답니다. 오늘은 어떻게 우리의 지원군 컴퓨터에게 우리를 대산하여 귀찮은 계산들을 부탁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연산자란? 자바에는 다양한 값들을 ..
chapter 1. 자바 변수와 연산자 그리고 메서드 1.1. 변수(Variable)이란? 컴퓨터 메모리에 자료(Data)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자료형(Type, 形)에 따라 그 크기가 다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기술의 발전으로 커다란 양의 데이터도 거뜬히 저장하고 계산하는 데 무리가 없지만, 그럼에도 컴퓨터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잘 분류해야합니다. 왜냐하면, 기술이 발전한 만큼 우리 인류가 하루에만 발생시키는 데이터의 양도 커졌기 때문입니다. 방안에 어질러진 물건을 잘 정리하려면 각 물건의 종류에 맞는 상자를 준비해 정리하면 빠르게 정리할 수 있는 것처럼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이러한 데이터의 저장과 분류는 매우 중요합니다. 여기서 자료형이란 컴퓨터 과학과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자료, Data)를 식별하기 위한 분류를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