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BASIC/정보시스템 일반

[CS BASIC] 스마트폰에는 어떤 소프트웨어가 있을까

개요

오늘은 스마트폰에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된 계기는 스마트폰에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찾다보니

스마트폰 하나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정리해보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노모포비아는 아닐지 의심될 정도로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것 같은데요.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는 신분증 다음으로 자기 자신임을 증명하는 신분증의 역할도 수행하는 만큼

스마트폰 없는 일상은 정말 불편할 것 같으면서도, 정작 스마트폰에 어떤 소프트웨어가 있는지는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던거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깊고 자세한 내용까진 아니지만, 스마트폰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 OS를 중심으로 해서

어떤 소프트웨어가 스마트폰에 존재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은 굉장히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그 기원이 피처폰에서 발전된 형태인 만큼 매우 특수한 전자 기기입니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은 전화기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컴퓨터의 기능을 갖추게 된 전자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잠깐만 생각을 해보면, 생각보다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는 대체로 1~2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된 것이 많습니다.

 

가령, 현금을 출금하기 위해 은행의 자동화 코너에 방문하면 ATM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그런데, ATM은 주로 은행에서 현금의 입출금을 위해 전문화된 전자 기기입니다.

 

식당이나 카페에 존재하는 POS(Point Of Sale)기도 별도의 OS도 존재하는 전자 기기이자 컴퓨터의 일종이고,

물건이 판매되는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매출이나 재고 등의 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한가지 더 사례를 들자면, SONY의 플레이스테이션(Play Station)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엑스박스(X-BOX),

코로나 초기 인기를 끌었던 닌텐도 스위치와 같은 게임기도 전자 기기이고 컴퓨터의 일종이나, 게임이라는 목적을 위해 사용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앱(App)을 통해서 게임을 할 수도 있고,

간단한 문서 작업이나 때로는 이미지 편집 기능도 가능합니다.

 

물론 ‘전화기’라는 본연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당연하고, 지금은 OTT의 등장으로 인해 거의 사라진 기능이나 

과거에는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여 TV를 시청하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스마트폰에도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가 있나요?

 

세상에 처음으로 스마트폰이 등장했을 때에는 그 성능이 PC보다는 한참 못 미쳤기 떄문에

대부분 가볍거나 간단한 앱 정도만 사용 가능했고, 어느정도 스마트폰 성능과 타협을 해야했습니다.

 

스마트폰은 컴퓨터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고,

특히나 스마트폰에서는 개인용 PC보다도 한참 부족한 성능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관리를 필요로 했습니다.

 

그렇기에 스마트폰에도 당연히 한정적인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줄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가 꼭 필요했고,

스마트폰이 세상에 처음 등장한 시기에는 꽤 다양한 모바일용 OS가 세상에 등장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현재는 구글의 안드로이드(Android)와 애플의 iOS만이 살아 남아서

스마트폰 운영체제, 모바일 운영체제의 양대 산맥을 이루며 서로 경쟁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안드로이드와 iOS외에도 다양한 모바일 OS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s://ko.wikipedia.org/wiki/%EB%AA%A8%EB%B0%94%EC%9D%BC_%EC%9A%B4%EC%98%81%EC%B2%B4%EC%A0%9C

 

모바일 운영체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 모바일 운영체제(mobile operating system) 또는 단순히 모바일 OS는 모바일 장치나 정보 기기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이다. 데스크톱 컴퓨

ko.wikipedia.org


스마트폰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fig 1.0 스마트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은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체제부터,

제조사에서 사용자의 경험(UX, User eXperience)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함께 설치됩니다.

애플의 아이폰의 경우 하드웨어의 설계부터 OS까지 모두 애플에서 만들고 관리하기 때문에 기기를 불문하고

통일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큰 특징인데요.

 

반면 안드로이드 OS를 기반으로 하는 구글의 픽셀폰이나 삼성의 갤럭시 등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하고 제조사가 목표로하는 다양한 사전 설치 프로그램을

제품 생산 단계에서 함께 탑재하여 출고 되고 있습니다.


모바일 운영체제

fig 1.1 모바일 운영체제

 

스마트폰은 전화기의 기능도 수행하면서 동시에 컴퓨터로서 프로그램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회수하는 스케줄링 작업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전담으로 맡아주는 모바일 운영체제는 위와 같이 안드로이드(Android)와 iOS가 대표적입니다.

 

 

 

사전 설치 소프트웨어(pre-installed software)

제조사에서 OS와 함께 기본으로 제품에 탑재하는 소프트웨어로 삼성 갤럭시의 경우, 삼성헬스, 빅스비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fig 1.2. 사전 설치 소프트웨어 (pre-installed software)

 

 

사전 설치 프로그램은 대체로 제조사에서 만들어 제품의 출시와 함께 탑재하는데요.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제품의 사용에는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업에서 궁극적으로 고객들로부터 꾸준한 선택을 받고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각 제조사마다 소프트웨어로 차별점을 두고 고객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그 중요성이 지대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App)

스마트폰에서 추가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프로그램으로, 제조사에서 제품의 출고와 함께 설치 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앱 스토어 플랫폼인 구글의 플레이스토어(Play Store)나 애플의 앱 스토어(App Store)에서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fig 1.3. 다양한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플레이스토어, 앱 스토어 캡처사진)

 

 

응용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제조사가 아닌 회사에서 만든 것이 대다수라는 점입니다.

그렇기에 제조사에서 제품의 출고 시 함께 설치하는 사전 설치 소프트웨어는

다른 제조사와 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하지만, 응용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와 iOS라는 양대 모바일 OS 생태계 모두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모바일 OS 플랫폼과 무관하게 서로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하려 한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B%AA%A8%EB%B0%94%EC%9D%BC_%EC%9A%B4%EC%98%81%EC%B2%B4%EC%A0%9C

 

모바일 운영체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 모바일 운영체제(mobile operating system) 또는 단순히 모바일 OS는 모바일 장치나 정보 기기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이다. 데스크톱 컴퓨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_%EA%B2%BD%ED%97%98

 

사용자 경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자 경험(使用者經驗, User Experience 유저 익스피리언스[*], 간단히 UX)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ko.wikipedia.org